전체 글18 금리인상기에 위험자산에 투자하면 이렇게 된다? (1년간 투자결과) 고금리 시기의 도래? 미연준에서는 기준금리를 올해 들어 자이언트 스탭과 빅스탭을 반복하며, 기준금리를 어느새 4.5%까지 올려놓았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의지가 아주 강력하고, '23년도에도 금리인하에 대한 가능성은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당분간 4~5%대의 고금리 기조가 최소 향후 1~2년간은 계속될것으로 전망됩니다. 실제로, 지난 12월 FOMC를 통해 공개된 점도표(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 전망을 표시한 도표)에서 내년 금리의 중간값은 5.1%로 9월의 4.6%보다 0.5%p 상승되어 발표가 되었습니다. 주식/코인 등 각종 자산에 투자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힘든시간이 지루하게 계속될것 같습니다.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결과? 지난 1년간 미연준에서는 올초부터 금리인상에 대한 메세지.. 2022. 12. 20. [국가계약법] 부정당업자(업체)로 선정된다면? 선정사유? 제재사항? 국가를 당사자로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국가계약법)에 따라 사업을 수주하게 되면 안정적인 사업성을 확보할수 있으며, 입찰가격에 따른 적정이윤 또한 어느정도 확보할수 있어 상당히 장점이 많습니다. 하지만, 국가계약에 있어서 부정당업자(업체)로 선정되게 된다면 상당히 많은 제한사항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부정당업자란 무엇이며, 왜 부정당업자로 선정되는지 한번 알아봅시다. 부정당업자(부정당업체)란? 무엇인가? 왜 선정되는가? 국가계약법 제27조를 보면, 아래와 같이 부정당업체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떤행위를 하게되면 부정당업체로 선정되는지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부정당업체로 선정되는 사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법령에 나와있는 내용을 계략적인 이해를 돕기위해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국가에게 부정.. 2022. 12. 8. 국가계약법? 일반계약과 차이점과 유의사항 (feat. 협약 vs 계약 차이?) 계약업무를 진행하다보면, 계약상대자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정부기관이 계약관리자 (갑)이 되고 내가 속한 회사는 공급자(을)이 되는 경우입니다. 국가계약법이라고도 하고 이를 또한번 줄여서 국계법이라고도 하는데요, 이러한 경우, 계약준비시에 주의해야 하는 사항이 무엇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국가계약법? 국계법?(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상기 법령에 나와 있는바와 같이 국가를 당사자로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로서, 개인과 개인 / 회사와 회사 등의 관계가 아닌 국가와 회사/개인 등 간에 발생하는 계약에 대한 내용을 법률로서 정해놓은 것입니다. 계약체결의 효력은 어떻게 생기나? (일반조건? 특수조건?) 국가계약의 성립과 일반적 계약의 성립 차이점으로는 일.. 2022. 12. 6. 구매(비용구분) - NRE/NRC/RC 차이점을 알아보자 비용구분은? 일회성(Non-reccuring) vs 지속성(Recurring) 개발구매시 가격을 집계하다보면, 제안서 상에 있는 비용을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구분해볼수 있는데요. * NRE : Non-Recurring Engineering (개발비용) 또는 NRC : Non-Recurring Cost (일회성 발생비용) * RC : Recurring Cost (지속발생 비용) 단어가 좀 생소할수 있는데,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반도체A를 개발함에 있어서 테스트비용이 500,000원, 필요한 Tool을 제작하는 비용이 200,000원이라고 합시다.이때 개발에 필요한 테스트비용과 Tool제작비용은 최초1회만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Non-Recurring Engineering Cost.. 2022. 11. 24. 이전 1 2 3 4 5 다음